![[Spring] Java를 이용한 DI 설정 방법](http://i1.daumcdn.net/thumb/C120x120/?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dkC5qI%2Fbtq1D06luky%2FAAAAAAAAAAAAAAAAAAAAAOqXUdB8qSu1KNY5k-efM7eioKPGh4UlDgD7Jw8rQWkQ%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39739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1%252FBK8aUr5Z%252BRcKiNwAzDlmJzEc0%253D)
[Spring] Java를 이용한 DI 설정 방법
- spring
- · 2021. 4. 1.
사실 고급 시스템 설정을 사용한다면 cmd를 이용해서 환경변수를 설정하는 일이 드물겠지만, 만일에 대비하여 cmd를 이용하여 환경변수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놓을 필요가 있다. 시스템환경변수 1. 등록 setx /m 변수명 "경로" ex) setx /m JAVA_HOME "C:\Program Files\Java\jdk1.8.0_291" 2. 조회 reg query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Session Manager\Environment" /v 환경변수명 ex) reg query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Session Manager\Environment" /v..
2021.06.13 - [Study/Java Study] - 자바스터디 5주차 (2) - [스터디관리 프로그램 구현] 자바스터디 5주차 (2) - [스터디관리 프로그램 구현] 2021.06.11 - [Study/Java Study] - [자바스터디] 5주차 (1) [객체지향으로 스터디관리 프로그램 만들기] - 조건 (흐름) [자바스터디] 5주차 (1) [객체지향으로 스터디관리 프로그램 만들기] - 조건 (흐름) 2021.0 hong-chii.tistory.com 1. 예외처리 1.1 프로그램 오류 프로그램이 실행 중 어떤 원인에 의해서 오작동을 하거나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는 경우를 프로그램 에러 또는 오류라고 한다. 컴파일 에러 : 컴파일 시에 발생하는 에러 런타임 에러 : 실행 시에 발생하는 에러 논리적..
2021.05.24 - [Study/Java Study] - 자바스터디 3주차 (1) 자바스터디 3주차 (1) 배열(array) 1.1 배열이란? 같은 타입의 여러 변수를 하나의 묶음으로 다루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같은 타입이어야 한다는 것인데, 서로 다른 타입의 변수들로 구성된 배열은 만들 수 없다. hong-chii.tistory.com 1. 객체지향언어의 특징 코드의 재사용성이 높다. 코드의 관리가 용이하다. 신뢰성이 높은 프로그래밍을 가능하게 한다. 2. 클래스와 객체의 정의와 용도 클래스의 정의 - 객체를 정의해 놓은 것 클래스의 용도 - 객체를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객체의 정의 - 실제로 존재하는 것. 사물 또는 개념 객체의 용도 - 객체가 가지고 있는 기능과 속성에 따라 다름 유형의..
DAO, DTO, VO를 보신 적이 있을겁니다. 저는 DAO, DTO, VO가 모두 동일한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이번에 세가지의 차이가 뭔지 알기위해 검색하면서 지금까지 제가 알고있던게 잘못되었고, 분명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DAO (Data Access Object) DAO는 데이터 접근 객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DataBase 접근을 하기 위한 로직과 비지니스 로직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그렇기때문에 DB Connection 로직까지 설정되어있는 경우가 많고, CRUD를 전담합니다. (요즘은 사용하는 일이 드물다고는 합니다.) DTO(Data Transfer Object)와 VO(Value Object) DTO는 순수한 데이터 객체이며, Controller, Service, ..
@NonNull Null 값이 될 수 없다는 것을 명시합니다. NullPointerException에 대한 대비책이 될 수 있습니다. @Cleanup 자동으로 close() 메소드를 호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Getter 코드가 컴파일될 때 속성들에 대해서 getter 메소드들을 생성합니다. @Getter(lazy=true) 동기화를 이용해서 최초 한번만 getter를 호출합니다. @Setter 코드가 컴파일될 때 속성들에 대해서 setter 메소드들을 생성합니다. 속성 - value : 접근 제한 속성을 의미, 기본값 lombok.AccessLevel.PUBLIC - onMethod : setter 메서드 생성 시 메서드에 추가할 어노테이션을 지정합니다. 코드는 특이하게도 '_' 표기가 사용되는데 JD..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