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보기 출처, 자바의정석 버블정렬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크기별로 정렬하는 예제. 버블정렬 : 배열의 길이가 n일 때, 배열의 첫 번째부터 n-1까지의 요소에 대해 근접한 값과 크기를 비교하여 자리바꿈을 반복하는 것이다. package Ch5; public class ArrayEx10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1 int[] numArr = new int[10]; for (int i = 0; i < numArr.length; i++) { System.out.print(numArr[i] = (int) (Math.random() * 10)); } System.out.println(); // --2 for (int i = 0; i < numArr.leng..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ball = new int[45]; for(int i=0; i < ball.length; i++) { ball[i] = i+1; } int temp=0; int j=0; for(int i=0; i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Arr = new int[10]; for(int i=0; i < numArr.length; i++) { numArr[i] = i; System.out.print(numArr[i]); } System.out.println(); for (int i=0; i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score = { 79, 88, 91, 33, 100, 55, 95 }; int max = score[0]; int min = score[0]; for (int i = 1; i max) { max = score[i]; }else if (score[i] < min) { min = score[i]; } } System.out.println("최대값" + max); System.out.println("최소값" + min); } 처음 max, 와 min을 배열의 첫번째 요소로 초기화하고 for문을 돌리면서 배열의 두번째 요소부터 값을 비교하는 방식이다. 결과 최..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sum = 0; float average = 0f; int[] score = {100, 88, 100, 100, 90}; for (int i=0; i < score.length; i++) { sum += score[i]; } average = sum / (float)score.length; System.out.println("총점" + sum); System.out.println("평균" + average); } 반목문을 사용하여 배열에 저장된 값을 모두 더해 sum에 담아주고, 평균을 내기위해 형변환 하였다. // (float)score.length 결과 총점 : 478 평균 : 95.6 더보기 출처, 자바의정석
1. 배열 같은 타입의 여러 변수를 하나의 묶음으로 만든 것 배열의 선언 방법 타입[] 변수이름; 타입 변수이름[]; 배열의 생성 - 배열을 생성해야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진다. 변수이름 = new 타입[길이]; - 배열 선언과 생성 동시에 하기 타입[] 변수이름 = new 타입[길이]; int[] score = new int[5]; 배열의 인덱스 -인덱스는 배열의 요소마다 붙여진 일련번호 -0부터 배열길이 -1까지 배열의 길이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의 개수 -배열의 길이는 0일수도 있음 배열의 복사 System.arraycopy(num, 0, newNum, 0, num.length); // num[0]에서 newNum[0]으로 num.length개의 데이터를 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