멤버변수(클래스 변수, 인스턴스 변수)와 배열의 초기화는 선택적이지만 지연변수의 초기화는 필수적 멤버변수의 초기화 방법 명시적 초기화: 변수를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 하는 것 생성자 초기화 블럭 인스턴스 초기화 블럭 - 인스턴스변수를 초기화 하는데 사용 클래스 내에 블럭 { } 을 만들고 그 안에 코드를 작성 클래스 초기화 블럭 - 클래스 변수를 초기화 하는데 사용 인스턴스 초기화 블럭 앞에 static을 붙임 초기화 시기와 순서 클래스변수의 초기화시점 : 클래스가 처음 로딩될 때 단 한번 초기화됨 인스턴스변수의 초기화시점 : 인스턴스가 생성될 때마다 각 인스턴스별로 초기화가 이루어짐 클래스변수의 초기화순서 : 기본값 -> 명시적초기화 -> 클래스 초기화 블럭 인스턴스변수의 초기화순서 : 기본값 -> 명시..
변수 단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 단 하나의 값만 저장할 수 있어서 다른 값을 저장하면 기존의 값은 지워진다. 변수 선언 int a; int는 변수의 타입이고 a는 변수의 이름이다. 변수의 타입을 지정할때는 두가지를 생각해야한다. 1. 크기 2. 종류 변수의 타입 기본형 - 실제 값을 저장 - boolean, char, byte, short, int, long, float, double 참조형 - 값이 저장된 주소를 값으로 가짐 - 기본형 8가지를 제외한 나머지 타입
Javascript 변수 선언 방식 var, let, const 1. var : var는 변수 재선언이 가능하다. 변수 재선언을해도 에러가 나지 않고, 각기 다른 값이 출력된다. 2. let : let은 변수 재선언이 되지 않는다. 하지만 재할당은 가능하다. 3. const : const는 변수 재선언, 재할당 모두 불가능하다. 변수 선언에는 기본적으로 const를 사용하고, 재할당이 필요한 경우에는 let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var는 간단한 테스트용으로 적합하다. const를 사용하면 의도치 않은 재할당을 방지해주기 때문에 안전하다.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 새 글 쓰기 |
W
W
|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 맨 위로 이동 |
T
T
|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